레이블이 포린미디어워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포린미디어워치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년 11월 17일 목요일

일본 언론은 ‘26만’, 한국 언론은 ‘100만’...누구 말 맞나?

제목 : 일본 언론은 ‘26만’, 한국 언론은 ‘100만’...누구 말 맞나?

부제목 : 시위 관련 사실보도와 보도윤리에 있어서 현격한 차이가 나고 있는 한국언론과 일본언론


광화문에서 벌어진 3차 궐기 대회에서 과연 몇 만명의 시민이 모였냐로 페이스북 등에서 큰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시위주최 측 추산은 100만명이지만, 경찰 측 추산은 26만명이어서 인원수 차이가 너무 크게 난다는 것이다.

‘26만명’도 연인원인지 순인원인지가 애매한 과장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지만, ‘100만명’이면 사실상 울산광역시 인구와 맞먹는 숫자다. 애국진영 일각에서는 시위주최 측의 이와 같은 상식을 벗어나는 인원수 과장도 문제지만 그런 시위주최 측의 인원수 과장에 무비판적으로 동조하는 한국 언론의 보도 태도에 더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일본전문가이자 애국논객인 '펀드빌더'는 조갑제닷컴 게시판에 이번 시위 문제 보도와 관련하여 일본 언론들, 한국언론들의 보도태도를 비교하는 게시물을 올렸다. 일본 언론은 대개 경찰 측 추산 인원수(26만명)를 기사 제목으로 뽑은 점에 반해서, 한국 언론들은 하나같이 시위주최 측 추산 인원수(100만명)를 기사 제목으로 뽑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일본의 대표지인 ‘요미우리(讀賣)신문’은 12일자로 ‘朴氏 퇴진 요구 26만 명 데모...野黨, 조직적으로 참가(朴氏退陣求め26万人デモ…野党、組織的に参加)’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마이니치(每日)신문’도 13일자로 이번 시위 관련 소식을 전하는 기사에서 ‘서울 26만 명, 朴氏 퇴진요구 심야 경찰과도 마찰(ソウル26万人、朴氏退陣要求 深夜警察ともみ合い)’라는 제목을 달았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도 ‘朴 대통령 퇴진요구 대규모 집회 서울, 26만 명(朴大統領退陣求め大規模集会 ソウル, 26万人)’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산케이(産經)신문’의 이번 시위 관련 기사 제목은 ‘朴槿惠氏는 '퇴진하라' 서울에서 수 십만명 집회, 차기대통령 후보도 데모대에 합류(朴槿恵氏は「退陣せよ」 ソウルで数十万人集会、次期大統領候補もデモ隊に合流)’이다.

‘요미우리(讀賣)신문’, ‘朴氏 퇴진 요구 26만 명 데모...野黨, 조직적으로 참가(朴氏退陣求め26万人デモ…野党、組織的に参加)
▲ ‘요미우리(讀賣)신문’, ‘朴氏 퇴진 요구 26만 명 데모...野黨, 조직적으로 참가(朴氏退陣求め26万人デモ…野党、組織的に参加)

‘마이니치(每日)신문’, ‘서울 26만 명, 朴氏 퇴진요구 심야 경찰과도 마찰(ソウル26万人、朴氏退陣要求 深夜警察ともみ合い)’
▲ ‘마이니치(每日)신문’, ‘서울 26만 명, 朴氏 퇴진요구 심야 경찰과도 마찰(ソウル26万人、朴氏退陣要求 深夜警察ともみ合い)’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 ‘朴 대통령 퇴진요구 대규모 집회 서울, 26만 명(朴大統領退陣求め大規模集会 ソウル, 26万人)’
▲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 ‘朴 대통령 퇴진요구 대규모 집회 서울, 26만 명(朴大統領退陣求め大規模集会 ソウル, 26万人)’

‘산케이(産經)신문’, ‘朴槿惠氏는 '퇴진하라' 서울에서 수 십만명 집회, 차기대통령 후보도 데모대에 합류(朴槿恵氏は「退陣せよ」 ソウルで数十万人集会、次期大統領候補もデモ隊に合流)’
▲ ‘산케이(産經)신문’, ‘朴槿惠氏는 '퇴진하라' 서울에서 수 십만명 집회, 차기대통령 후보도 데모대에 합류(朴槿恵氏は「退陣せよ」 ソウルで数十万人集会、次期大統領候補もデモ隊に合流)’

반면 한국 언론은 하나같이 추산 주체부터가 애초 불분명한 측이 제시한 숫자인 100만명이 거론됐다.

‘연합뉴스’는 ‘"박근혜 퇴진" 100만 촛불 한목소리…6월항쟁 후 최대’라는 제목을 달았다. ‘뉴시스’는 ‘기적적인 100만 평화 집회…쇠파이프·밧줄·물대포 사라져’라는 제목을 달았다.

‘중앙선데이’도 ‘100만 촛불의 함성, 퇴진’라는 제목의 기사를, ‘한국경제’도 ’100만 촛불 앞에 선 청와대 "모든 것 고심 중"‘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국민일보’ 역시 ‘“100만명 모였는데 평화집회” 광화문 풍경에 외신도 감탄’라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고, ‘한겨레’도 ‘100만 촛불, 국민의 힘 보여줬다’는 제목의 기사를 내보냈다.

‘연합뉴스’, ‘"박근혜 퇴진" 100만 촛불 한목소리…6월항쟁 후 최대’
▲ ‘연합뉴스’, ‘"박근혜 퇴진" 100만 촛불 한목소리…6월항쟁 후 최대’

 ‘뉴시스’, ‘기적적인 100만 평화 집회…쇠파이프·밧줄·물대포 사라져’
▲ ‘뉴시스’, ‘기적적인 100만 평화 집회…쇠파이프·밧줄·물대포 사라져’

‘중앙선데이’, ‘100만 촛불의 함성, 퇴진’
▲ ‘중앙선데이’, ‘100만 촛불의 함성, 퇴진’

‘한국경제’, ’100만 촛불 앞에 선 청와대 "모든 것 고심 중"‘
▲ ‘한국경제’, ’100만 촛불 앞에 선 청와대 "모든 것 고심 중"‘

‘국민일보’ , ‘“100만명 모였는데 평화집회” 광화문 풍경에 외신도 감탄’
▲ ‘국민일보’ , ‘“100만명 모였는데 평화집회” 광화문 풍경에 외신도 감탄’

 ‘한겨레’, ‘100만 촛불, 국민의 힘 보여줬다’
▲ ‘한겨레’, ‘100만 촛불, 국민의 힘 보여줬다’

‘펀드빌더’는 “일본(日本) 언론들은, 기사 본문 내용 중에는 경찰측 및 데모대측 주장 인원규모를 모두 소개(100만, 26만)했지만, 중요한 기사 제목(타이틀)에는, 정식 국가기관인 '한국 경찰'을 신뢰하여 ’26만 명‘이라고 표현했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펀드빌더’는 “반면, 한국(韓國) 언론들은, 공인된 '한국 경찰'보다 반(反)정부 데모 주도세력이 주장하는 ’100만 명‘을 기사 제목으로 채용한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덧붙였다.   

SBS, 지상파3사 중 가장 균협잡힌 외신보도

제목 : SBS, 지상파3사 중 가장 균협잡힌 외신보도

부제목 : 지상파, 美 대선관련 친 민주당 성향 언론만 집중인용 '우려'


외신감시센터가 지상파 3사의 10월 3주간 외신인용 보도를 모니터링한 결과 SBS가 가장 균형잡힌 시각으로 외신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신감시센터(센터장 황의원, http://www.foreignmedia.co.kr)는 최근 3주간(10월 1일~10월 22일) 지상파 3사가 외신을 어떻게 인용해 보도하는지 분석한 모니터링 보고서를 지난 26일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모니터링 결과 KBS, MBC, SBS는 3주 동안, 총 774개의 외신 인용 보도를 했다. 이 중에서 북한 관련 소식이 64개, 한국 관련 소식이 45개, 순수 해외소식이 665개였다.

지상파 3사의 외신 인용보도 숫자는 200~280개 사이로 비슷했다. 방송사별로는 △ KBS는 총 277개 기사 중 북한 관련 10개, 한국 관련 20개, 순수 외신 247개로 가장 많았고, 이어 △ SBS는 총 253개 기사 중 북한 관련 28개, 한국관련 11개, 순수 외신 214개 △ MBC는 총 244개 기사 중 북한 관련 26개, 한국 관련 14, 순수 외신 204개로 조사됐다. 

KBS, MBC, SBS 방송사 로고
▲ KBS, MBC, SBS 방송사 로고

해당 기간의 외신 인용 보도는 3개 방송사 중에서 SBS 가 가장 뛰어났다는 것이 외신감시센터의 분석이다. SBS 는 정치, 경제, 문화, 국제지역 등등 다양한 주제와 다양한 소식을 전하는 대체로 균형 잡힌 외신보도를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외신감시센터는 SBS 가 'AFP통신’을 통해 10월 11일 전한 “외국군대 없는 노르웨이에 미군 순환배치 검토...러, 반발” 기사, 10월 21일 ‘산케이신문’을 인용한 “ 일(日)도 필리핀-중국 접근에 촉각...對중국 포위망 흔들” 기사를 시의적절한 외신인용 사례로 꼽았다. 

외신감시센터는 "역사적으로 러시아 영향권에 있었고, 군사적으로 중립을 지켜왔던 노르웨이가 미군과의 군사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은 북유럽 정치·군사, 국제질서의 변화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평가했다. 또한 "중국을 둘러싸는 포위전략을 추구하던 미·일에게 최근 미국과 필리핀의 갈등으로 필리핀이 중국과 러시아와 군사교류를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은 큰 충격이었음에 틀림없다"며 "이러한 국제정치의 뉴스는 놓쳐서는 안되는 것이고 적절히 보도했다"고 밝혔다. 

다만 아쉬움도 남았다. 외신감시센터는 "(SBS가) 지난 10월 1일 제68주년 국군의 날 행사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연설에 대해 호평을 한 월스트리트 10월 4일자 사설은 미국 주류 일각의 대(對)한반도 정책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기사였음에도 다루지 않은 점은 매우 아쉬운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외신감시센터는 KBS의 외신 인용보도 중에서 뛰어난 보도로 10월 21일자 KBS 백진원 기자의 “미국 결별·중국 밀월…두테르테의 배신?” 기사를 꼽았다.

외신감시센터는 "두테르테의 행보에 대하여, 파이낸셜 타임스, 이코노미스트 등을 인용하면서 위험한 모험주의임을 강조했다"며 "두테르테가 그렇게 행동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이코노미스트에서의 추정을 인용하고, 독자가 궁금해 하는 팩트들, 즉, 왜 미국과 결별하고 중국과 친해지려 하는지와,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에 관한 예측들도 여타 외신을 인용하여 독자들에게 알려줬다"고 분석했다. 

다만 아쉬운 점으로는 "대부분의 미국 대선 뉴스나 경제 관련 기사에서 여론 조사나 경제 수치 결과에 대한 숫자만을 인용하여 전할 뿐, 왜 그러한 수치가 나왔는지에 대한 의미 분석을 함께 인용하는 경우가 별로 없었다"고 전했다. 

MBC 는 단순한 외신 인용에 그치지 않고 직접 OECD자료를 파헤쳐 잘못된 통념을 바로잡는 보도를 내보내 눈길을 끌었다. 외신감시센터는 "10월 16일 자 손령 기자의 “한국여성 흡연이 세계 1위" 어디서 나온 통계?” 취재 기사는 외신을 인용한 것은 아니지만 OECD 자료를 분석해서 취재하여 자료의 오류를 밝혀낸 것은 인상깊다"고 높이 평가했다. 

MBC 역시 아쉬운 점은 미국 대선관련 보도였다. 외신감시센터는 "(MBC가)미국 대선 뉴스를 전하는 외신의 인용에 있어서 주로 민주당지지 언론매체인 ‘CNN’,  ‘뉴욕타임스’를 인용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트럼프를 일방적으로 희화화시키는 외신만 인용함으로써, 미국현지의 트럼프 지지층의 목소리를 전하지는 못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MBC는 경제관련 외신보도에 취약하다는 점도 짚었다. 외신감시센터는 "(MBC가) 이코노미스트', ‘파이낸셜 타임스’ 등의 경제분석 기사를 소개하여 국제적 경제동향에 대한 흐름을 전달하는 부분에서도 미흡한 면이 있다고 여겨진다"고 밝혔다. MBC는 이코노미스트를 '0'건, 파이낸셜타임스를 1건(정치기사)만 인용보도했다. 

연합뉴스, 日 해프닝 '한국인혐오'로 둔갑시켜

제목 : 연합뉴스, 日 해프닝 '한국인혐오'로 둔갑시켜

부제목 : 한국 언론의 일본 관련 뉴스 선별 안목부재와 게으름 ‘심각한 수준’


최근 국내 언론이 일본에서의 몇몇 해프닝성 사건들을 연이은 한국인 혐오 사건으로 부풀려서 선정보도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외신감시센터(센터장 황의원, http://www.foreignmedia.co.kr)는 홈페이지에 공개한 ‘“외국인 많아 불편해”, 한국의 일본 관련 보도는 문제 없는가?’라는 리포트를 통해 한국 언론의 일본 관련 뉴스 선별 안목부재와 특파원의 게으름 문제를 짚었다.

외신감시센터는 관련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11일 자 연합뉴스 기사 ‘'한국인 비하 논란오사카서 "외국인 많아 불편해전철방송’를 꼽았다. 외신감시센터는 연합뉴스 특파원이 교도통신 기사를 인용해 작성한 이 기사에 대해서 전철에서 벌어진 단순 해프닝성 사건을한국 사람을 겨냥한 한국인 혐오 사건으로 단정하고 전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점이 내포된 보도라 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연합뉴스가 인용한 교토통신에 따르면 일본 난카이(南海)전철 소속 40대 승무원은 10일 낮 일본어로 "오늘은 외국인 승객이 많이 타 불편을 드리고 있다"고 차량내 방송을 했고일본인 여성이 항의성 문의를 했다교토통신은 회사측 조사에서 승무원은 "일본인 승객 1명이 차내에서 '외국인이 많아 걸리적거린다"고 크게 떠드는 소리를 듣고승객 간에 시비가 붙는 것을 막기 위해 정규 안내방송 뒤에 그런 내용을 추가했다고 사실관계를 전했다. 안내방송의 문제점을 애초 일본인이 짚었고, 안내방송에서의 외국인이 과연 한국인인지도 알 수 없는 것.

외신감시센터는 기사 내용의 정황상으로도 해당 승무원은 그저 경황이 없는 가운데 외국인에 대해 언급했던 것이지 고의로 외국인을 모욕할 목적으로 그런 방송을 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풀이했다그럼에도 연합뉴스는 난바와 간사이 공항 등은 오사카를 찾는 한국인 관광객이 많이 이용하는 구간이다는 문구를 넣어 해당 승무원의 방송이 마치 한국인을 겨냥한 것이라는 인상을 주도록 하면서 이 뉴스를 접하는 한국인들을 크게 분노케 만들었다고 외신감시센터는 꼬집었다.

한국 대다수 언론은 연합뉴스의 기사를 추가적인 분석이나 비판적인 분석없이 대부분 그대로 옮겨 보도했다.
▲ 한국 대다수 언론은 연합뉴스의 기사를 추가적인 분석이나 비판적인 분석없이 대부분 그대로 옮겨 보도했다.


공항특급 철도 라피트(ラピート rapiito) 50000계 열차
▲ 공항특급 철도 라피트(ラピート rapiito) 50000계 열차


연합뉴스가 해당 기사를 통해 역시 일본에서 벌어진 '한국인 혐오 사건'이라며 열거했던 ‘초밥집 와사비 사건’, '버스표 한국인 비하 사건' 역시 오보 가능성이 높다고 외신감시센터는 지적했다. 

외신감시센터는 “‘와사비 사건은 과연 단순히 서비스 정신을 발휘한 일을 손님이 오해한 것으로 봐야할지아니면 정말로 일본인의 한국인에 대한 혐오 감정이 표현된 것으로 봐야할지 모호한 사건이라며 우리나라 중국집들은 과거에 밑반찬으로 단무지만 서비스해오다가 언제부턴가 김치도 반드시 내놓고 있는데손님들이 밑반찬으로 김치를 자주 찾았기 때문이다고 역지사지가 필요함을 밝혔다. 손님들의 입맛을 지레짐작해서 했던 서비스가 무례가 되어버린 해프닝성 사건일 수 있다는 것이다.

버스표 김총’ 사건도 마찬가지. 외신감시센터는 한국인 승객의 이름이 가령, '김청'이나 '김천, ‘김정김전이라면일본어로는 모두 '김총'으로 표기할 수 밖에 없다며 김청일이나 김천수같은 이름인데 버스회사 직원이 뒤에 이름 한 글자를 못 알아듣고 그렇게 적었을 가능성도 역시 있다고 밝혔다. 해당 버스회사는 승객이 성만 밝히면 버스표에 성만 적고 승객이 성과 이름을 모두 밝히면 버스표에 성과 이름을 모두 적는데, 승객의 진짜 성명을 모르는 상황에서 이를 한국인 혐오사건’ 으로 단정할 수는 없다는 것이 외신감시센터의 지적.

외신감시센터는 연합뉴스는 이런 모호한 사건들을 모두 외국인 혐오한국인 혐오 사건들로서 분류해 소개했다며 일본어나 일본사정에는 정통해야할 특파원이 더구나 어떻게 이런 보도를 할 수 있는가고 반문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국내 대다수 언론이 해당 연합뉴스 특파원의 기사를 역시 아무런 비판적 고찰 없이 복사해서 붙여넣기’ 수준으로 빠르게 재생산했다는 점이다사건의 진실과 보도 가치를 따져물은 언론사는 찾아볼 수 없었다.

외신감시센터는“(일본 관련 보도로는) 한국 언론은 말하자면 동남아 국가의 언론보다 더 못하다며 한국 언론은 일본에서의 해프닝성 사건들아니 백번 양보해서 실제 외국인 혐오 사건들이었다고 하더라도 분명 일본인들 자신들로부터도 비판을 받고서 또 정화되고 있는 사건들을 갖고서 일본인들에 대한 비난을 선동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중앙일보의 일본 비하 및 모함 기사

제목 : 중앙일보의 일본 비하 및 모함 기사

부제목 : 일본의 정당한 요구가 '행패'나 '억지'로 왜곡되고, 오히려 한국의 잘못은 '은폐'되거나 때로 '기개' 등으로 날조되는 현상




※ 본지는 앞으로 조갑제닷컴(http://www.chogabje.com)의 역사, 외교, 안보 분야의 우수 콘텐츠들을 미디어워치 지면에도 소개하는기회를 갖기로 했습니다. 본 콘텐츠는 조갑제닷컴 회원토론방, 필명 ‘펀드빌더’님의 글입니다.


7일 중앙일보의 ‘강제징용 부정 日 외교관에 '호통' 조태열 차관, 주유엔 대사 내정’이라는 기사 중에는 사실(Fact)과 명백히 다른 왜곡(날조) 부분이 나온다.

  한·일 간 어느 정도 논의가 진행됐을 때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당시 일본 외무성 외무심의관(현재 사무차관)이 비공개방한해 조 차관을 만났다. 그는 한국이 세계문화유산위원회 때 위원국들에게 회람하려고 만든 초안에 강제노역 사실을 명시한 것을 트집잡았다. “우리 아베 총리가 배신감에 부들부들 떨었다”며 이런 사실을 청와대에 보고하고 강제노역 부분을 빼라고 억지를 부렸다. 이에 조 차관은 “지금 그런 걸 우리 대통령께 보고하란 게 말이 된다고 생각하느냐”고 호통을 쳤다. 옆에서 면담 내용을 받아적던 실무 직원들이 “이걸 곧이 곧대로 다 적어 기록으로 남겨도 되나” 하는 고민을 할 정도로 조 차관은 스기야마 심의관을 몰아붙였다고 한다.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외무심의관이 ‘한국이 위원국에게 나누어줄 자료 초안에 강제노역 사실을 명시한 것을 트집잡았고, 강제노역 부분을 빼라고 억지를 부렸다.’는 식으로 기사는 썼다. 하지만, 당시 사실(Fact)은 이렇다.

 -韓日 양국이 갈등 끝에, 유네스코 발표 자료에 ''forced to work'(일하게 되었다)'라는 표현을 쓰기로 사전 합의.
 
-한국이 사전 합의를 일방적으로 깨고, 한국측 준비 자료에 'forced labor(강제노동)'라고 기재.
 
-이를 알게 된 일본측(아베 수상 등)이 격분했고, 관계자가 한국을 방문해, 원래 합의한 표현('forced to work')대로 고칠 것을 강력하게 요구하여 한국측이 원래 합의대로 수정.
  
한 마디로, 양국간 사전 합의를 일방적으로 깨면서 문제를 일으킨 것은 한국 쪽이다. 그런데, 중앙일보 기사는, 일본 측이 ‘트집잡았고, 강제노역 부분을 빼라고 억지를 부렸다’는 식으로 썼다.

국내 언론들이 정확한 배경 설명도 없이 반일을 선동하는 일들이 잦아지고 있다.
▲ 국내 언론들이 정확한 배경 설명도 없이 반일을 선동하는 일들이 잦아지고 있다.

 
일본 입장에서 보면, 적반하장식(式) 기사에 다름 아니다. 내막을 모르는 일반 한국인들은 중앙일보의 이런 기사를 읽고, '일본의 행패에 굴하지 않은 기개있는 우리 외교관'쯤으로 착각했을 것이다. 마치 피해자가 가해자로 둔갑하고, 가해자가 피해자로 둔갑하는 식이다.
 
일본의 정당한 요구가 '행패'나 '억지'로 왜곡되고, 오히려 한국의 잘못은 '은폐'되거나 때로 '기개' 등으로 날조되는 현상은, 오늘날 외눈박이 한국 언론들이 만들어 놓은 풍토다. 이런 한국 언론들이,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한국인들을, 우물안 개구리가 되도록 몰아가고 있는 중이다. 


  • 등록 2016.10.24 04:02:27